러브버그 익충 러브버그 생존기간 러브버그 물림 러브버그 퇴치법
일상 생활 정보매년 6~7월이면 급증하는 러브버그는 작년에도 장마가 발생하지 않은 6월 20일 전후로 서울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년 1회 출몰하여 해충에 대한 민원이 있었던 벌레입니다. 러브버그는 암컷과 수컷이 붙어 다니는 특성이 있어 많은 분들에게 혐오감을 느끼게 하지만 해중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또한 질병을 옮기거나 또는 생태계를 교란하지 않습니다. 러브버그가 무엇이고 리브버그 해충인지 익충인지 생존기간 퇴치법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1. 러브버그
여름이 본격화하면서 이른바 러브버그라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가 다시 대거 발견되고 있습니다 러그버그는 사람들 사이에선 초여름 불청객으로 여겨지지만 생태계에선 익충으로 분류됩니다. 작년에도 6월 이른 여름 더위가 찾아오면서 출몰했던 붉은등우단털파리는 어김없이 올해도 발견됩니다.
중국 동남부나 일본 오키나와에 주로 서식하던 러브버그는 2022부터 우리나라 수도권을 중심으로 대량 발견되고 있으며 성충 수컷은 3~4일 암컷은 일주일 정도 생존합니다 암컷은 한번에 200~300개의 알을 낳지만 생존율이 높지 않아 대규모로 나타난 뒤 2주가량 지나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합니다.
러브버그는 보통 6월말 부터 7월 초 중순에 많이 발생하는 계절성 곤충으로 고온과 장마의 영향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는 듯합니다 하지만 러브버그는 질병을 옮기지 않고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익충이며 암수가 꼬리를 맞대고 이동하는 모습이 혐오감을 주는 등 시민들의 불편에 초래하고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털파리과 곤충으로 암수가 짝짓기 하는 상태에서 발생되며 독성이 없고 질병을 옮기지 않으며 오히려 진드기 박멸과 환경 정화에 도움을 주는 익충으로 덥고 습한 환경에서 자주 출몰하고 장마와 습한 날씨가 발생의 원인입니다.
또한 러브버스는 습한 환경을 선호하고 햇볕이 강한 날씨에는 활동력이 감소하고 물을 싫어하는 특성이 있으며 주로 낮에 활동하고 밝은 색을 좋아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2. 러브버그 생존기간
러브버그는 1~2주 내로 생존기간을 가지고 있으며 생존 기간이 짧으며 짝짓기를 통해 알을 낳아 번식에 대하여 우려를 하는 분들이 있지만 사실 러브러브가 알을 낳고 성충이 되기까지 1년이란 시간이 소요되며 지금 보이는 러브버그는 1~2주 내로 사라집니다.
러브버그는 땅속에 모여 있다 바깥 날씨의 상황을 보고 떼를 지어 나타납니다. 기온이 높고 비가 많이 내릴 확률이 비교적 높은 상황 주로 여름철 장마철에 출몰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이 시기에 습도가 높아지고 번식이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비가 많이 오는 시기나 습도가 높은 날에 활발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3. 러브버그 꼬리를 합체하여 비행하는 이유
러브버그가 합체해서 비행하는 이유는 수컷의 입장으로 보면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기 위하여 암컷과 계속 짝짖기를짝짓기를 하는 편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러브러브 수컷은 성충이 된 뒤 3일 내내 짝지기만 하고 바로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암컷은 3~4일 더 생존하면서 알을 낳고 죽습니다 수컷 생존 기간 동안 내내 짝짓기를 하는 것이 종 전체 번식에 유리하다고 판단된 듯하고 암컷 러브버그는 한 번에 100~300개 알을 낳고 애벌레 4개월 번데기 1주일 애벌레가 월동을 할 경우 길면 1년가량 생존합니다.
4. 러브버그 물림
러브버그는 해충이 아니라 익충입니다 러브버그는 꿀과 꽃가루를 주식으로 하며 사람에게 딱히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물리는 경우도 흔하지 않습니다 또한 별다른 독성이 없기 때문에 질병을 옮기지 않으며 러브버그의 입모양은 인체를 뚫고 들어와 피와 같은 액체를 흡입하기 발달된 구조가 아닙니다.
5. 러브버리 익충
러브버그의 성충은 꽃의 꿀을 주식으로 하고 유충은 섞은 식물과 유기물을 먹이로 합니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 4단계 생활을 가지며 썩은 식물과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의 영양분을 순환시키고 토양의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꽃가루를 옮기면서 식물의 수분에 기여하고 식물의 생장과 번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드기 박멸과 환경 정화에 도움을 주는 익충입니다
러브버그는 독성이 없으며 사람을 물지 않고 질병을 옮기지 않고 또 한 사람에게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 않으며 대량으로 출몰하면 불쾌감 또는 일상생활에 불편과 불쾌를 줄 수 있습니다.
6. 러브버그 퇴치법
러브버그는 물과 식초를 싫어하여 물과 식초를 섞어 뿌려주면 러브버그를 쫓아낼수 있으며 창문이나 문 주변에 뿌리주면 집안 침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살충제도 러브버그 퇴치에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사람에게 해롭지 않고 오히려 환경 정화에 도움을 주는 익충으로 독성 또는 질병 농작물의 해를 주는 곤충이 아닙니다 오히려 진드기 박멸과 환경정화에 도움을 줍니다 살충제를 뿌리는 식의 방제보다 야간에는 조명의 밝기를 최소화하고 불빛 주변에 끈끈이 패드 등을 설치하고 살충제를 뿌리기보다 휴지 빗자루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하고 밝은 색을 좋아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어두움 색의 옷을 입는 경우 러브버그가 달라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러브버그 익충 러브버그 생존기간 러브버그 물림 러브버그 퇴치법에 대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일상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방병 증상 냉방병 두통 냉방병 약 타이레놀 냉방병 원인 치료법 두통 피로 호흡기 증상 동반하는 냉방병 (2) | 2025.07.02 |
---|---|
불안장애 증상 불안장애 종류 및 원인 불안장애 신체적 증상 병적인 불안 불안장애 대표적인 5가지 증상 (5) | 2025.07.01 |
붉은사슴뿔버섯 독버섯 트리코테신 진균류 독소 붉은사슴뿔버섯 증상 붉은사슴뿔버섯 연구 맹독버섯 (7) | 2025.06.27 |
딸꾹질 원인 딸꾹질 멈추는 법 딸꾹질 생기는 이유 심각한 딸꾹질 증상 딸꾹질 약 (2) | 2025.06.25 |
피터팬증후군 증상 피터팬증후군 특징 기업 피터팬증후군 키털트와 피터팬증후군 차이 (9)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