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띠 증상 땀띠 연고 땀띠 원인 가려움 땀띠 종류 땀띠 치료약 치료 땀띠 빨리 낫는 법 땀구멍 막히는 원인
피부 건강푹 삶아 내는 듯한 무더위에 우리 몸은 땀을 흘려 체온을 낮추려고 합니다 신체 기능상 필요한 땀이지만 피부에 부작용이나 온몸에 가렵고 따가운 땀띠가 생기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줍니다 땀띠는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때 피부 땀관 땀구멍이 폐쇄되어 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발생하는 작은 발진 홍반을 의미합니다 체온을 조절하기 위한 땀이 분비되는 통로인 땀관이 막히면서 생기는 염증입니다 땀관이 막히는 원인에는 습기가 많은 고온다습한 환경 자외선 노출 피부 세균등이 있습니다 땀띠가 무엇이고 땀띠 증상 땀띠 연고 땀띠약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1. 땀띠
띰띠는 피부 표면으로 땀을 운반하는 좁은 관이 막혔을 때 발생합니다 배출되지 못하고 갇힌 땀은 자극 즉 따끔거림 가려움 작은 돌기나 매우 작은 소포와 같은 발진을 일으키는 염증의 원인이 됩니다 또 돌기는 통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땀띠는 따듯하고 습한 날씨와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하지만 추운 날씨에 너무 많은 옷을 껴입은 사람과 입원한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방 아래 허벅지 안쪽 겨드랑이 등 피부가 서로 닿는 부분에서 쉽게 발생합니다 이는 또한 장기간 피부가 옷으로 덮여 있거나 병원 침대에 똑바로 누워 있는 입원 환자들과 같은 다른 표면에 기대어 장기간 누워 있을 때 발생합니다.
땀띠는 주로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기간 뇌출될 때 피부 땀구멍이 막혀 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해서 발생하는 염증 질환으로 작은 발진 및 홍반을 동반합니다. 그 외에 땀관이 막히는 원인에는 자외선 노출 피부 세균 등이 있으며 막힌 땀관의 깊이에 따라 땀띠의 증상이 달라집니다 얕은 땀관이 막힌 경우 물방울 모양의 투명한 물집 양성을 띠며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고 반면 깊은 땀관이 막힌 경우 붉은 구진과 농포가 생기며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됩니다.
아기들의 경우 어른에 비해 땀샘의 밀도가 높고 표면적당 발한량이 2배 이상이기 때문에 땀디가 잘 발생합니다 증상으로는 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을 모양의 수포가 생기며 가려울 수 있으며 따끔거리는 경우도 있으며 주로 얼굴 목 가슴 겨드랑이에 발생합니다.
2. 땀띠 원인
땀관이나 땀구멍은 덥거나 축축한 환경 때문에 주로 막히지만 세균에 감염되거나 자극적 비누를 과다 사용해도 막힙니다 아기는 땀샘이 덜 발달하고 땀샘의 밀도가 높고 피부 면적에 비해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땀띠가 잘 생깁니다 대체적으로 여성보다는 남성 마른 사람보다는 살이 찐 사람에게 잘 생깁니다 치마나 반바지 등 통풍이 잘되는 옷을 입는 여성과 달리 남자는 바지만 입기 때문에 엉덩이나 사타구니에 땀이 차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땀띠 종류
땀관이 어떻게 막혔느냐에 따라 수정땀띠 적색땀띠 깊은땀띠 등으로 구분합니다 수정땀띠는 수정처럼 투명하고 작은 땀띠를 말하며 대부분 자각이 없이 사라집니다 적색땀띠는 피부가 발갛게 부어오르면서 생기며 가렵거나 따가워서 괴롭습니다 깊은 땀띠는 피부 깊이 땀관이 손상되어 물집이 생기고 피부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첫째 수정땀띠
각질층 상부의 부종으로 인해 땀샘이 피부 표면으로 배출되는 부위의 땀관구명이 폐쇄되어 각질 아래 물집이 나타납니다 임상적으로 직경 1mm 정도의 물방울모양의 투명한 얕은 물질이 산재되어 나타나며 염증반응이나 자극증상은 없습니다 주로 겨드랑이과 같이 접히는 부위나 머리 목 몸통 상부에 호발하고 신생아나 발열 환자에게 잘 발생하며 보통 치료 없이 차연치유됩니다.
둘째 적색땀띠(홍색한진)
하부 표피부위의 땀관 폐쇄로 표피내물질이 발생하여 적색구진 또는 구진물집을 보이고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몸통과 팔다리의 굽힘 부위 및 목에 호발하나 얼굴에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적색땀띠의 고름물집변형을 고름물집땀띠라고 하며 접촉 피부염 만성단순 태선 또는 피부스침증 같이 땀관이 파괴나 폐쇄를 초래하는 다른 피부염이 선행되어 발생합니다 고름물집은 모낭과 관계없이 얕게 생기며 대개의 경우 무균성이지만 세균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셋째 깊은 땀띠
표피 진피경계부의 땀관 폐쇄로 진히내 물집이 발생하며 병터는 구진처럼 보이는 물집으로 염증 변화나 가려움증이 없으며 땀샘의 기능은 감소되거나 소실됩니다 거의 대부분 열대성 기후에서 장기간재발적 색땀띠를 앓은 경우에 발생하며 얼굴은 오히려 땀을 많이 흘리는 보상적 다한증을 보이고 사타구니와 겨드랑이 림프절비대도 관찰됩니다.
4. 땀띠 증상
주로 얼굴 목 가슴 겨드랑이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울 몽양의 투명한 물질이 생기고 증세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가렵거나 따끔 하기도 합니다. 땀띠의 주요 증상은 땀띠 부위가 가렵거나 따가 올 수 있는 가려움 따가움과 붉은 반점 작은 물집 등이 나타나는 발진과 심한 경우 염증이 생겨 붓거나 통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땀띠의 증상으로 피부에 좁쌀처럼 작은 물방울 모양의 수포 가려울수 있으며 따끔거리는 경우 주로 얼굴 목 가슴 겨드랑이에 발생합니다.
5. 땀피 치료약
땀띠약은 가려움 염증반응을 경감시키는 약물을 사용합니다 가려움증과 염증반응이 동반하는 경우 항히스타민제에 국소마취세 피부염 치료제 발적제 등의 성분이 함유된 복합제를 사용합니다 염증이 심해지게 되면 약한 부신피질호르몬제 외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피질 호르몬제 성분의 단일제를 사용할 경우 전문의 또는 약사 등 전문가 상의 후 사용하여야 합니다
땀띠약에는 항히스타민제 국소마취제 자극성 피부염 치료제 피부 발적제 청량제 상처 궤양 치료제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복합되어 있습니다 가려움증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제가 주성분이 사용됩니다.
땀띠와 짓무름이 심할 땐 완화에 도움되는 약물은 피부의 습진을 막거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외용살포제 산화아연 연고제 칼라민 산화이연 로션제가 대표적입니다 외용살포제는 목욕 후나 취침 전에 피부를 깨끗이 한 후 발라 사용하고 눈 주이 상처 습진 등 이상 부위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산화아연 연고제와 칼라민 산화아연로션제는 환부에 직접 또는 거즈에 묻혀 바르고 로션제를 사용할 경우 잘 흔들어 섞어 줘야합니니다 단 산화아연은 상처 부위에서 조직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어 중증 광범위한 화상 감염 부위 상처 습윤 상태의 환부 눈 또는 눈 주위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땀띠약은 액체 크림 겔제 등의 형태로 사용되며 함유된 약물이 종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연령에 차이가 있습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 성분은 프레드니솔론 히드로코르티손은 리도맥스 보송 하티손이란 제품이 있으며 항히스타민제와 부신피질호르몬제을 주성분으로 하는 더마큐라는 제품도 있습니다 또 항히스타민제와 기타 항염제를 가지고 있는 버물리키드 리카에이 버래몰이 있으며 칼라민이란 제품은 산화철 산화아연이 주성분으로 된 제품이 땀띠 치료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땀띠 치료
땀띠는 대부분 심각한 질병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2~3일 정도만 ㅈ라 관리하면 정상으로 대부분 돌아옵니다 땀띠가 난 부위를 잘 씻고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으로 잘 말려주면 가라 앉습니다 땀띠가 생겼을 때에는 가급적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은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옷일 입습니다
또 아침에 사워를 하고 몸을 잘 말린 다음 통풍이 잘되는 옷을 입고 운동용 등산용 속옷을 사서 입는 것도 한 방법이며 적색땀띠는 항균비누를 이용하여 씻으면 증상이 빠르게 호전됩니다 그래도 진정되지 않는 피부의 땀띠는 피부과에 가서 국소 스테로이드 크림을 처방받아 바르거나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땀띠는 가벼운 질환으로 2~3일 정도 관리하면 대부분 증상이 개선됩니다 먼저 땀이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시원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으로 땀을 잘 말려주고 땀을 많이 흘린 후에는 즉시 씻어내고 잘 말린 후 통풍이 잘 되는 옷으로 갈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땀띠 병변 부위를 긁으면 세균 감염이 높아 가렵다고 긁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 땀띠 빨리 없애는 방법
첫쨰 더위 피하기
둘째 국소 스테로이드 크림
셋째 냉찜질 찬물 샤워
넷째 자극 피하기
땀띠 증상 땀띠 연고 땀띠 원인 가려움 땀띠 종류 땀띠 치료약 치료 땀띠 빨리 낫는 법 땀구멍 막히는 원인에 대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2023.09.04 - [건강정보] - 두드러기 두드러기 증상 두드러기 원인 증상 치료 두드러기 종류 콜린성
두드러기 두드러기 증상 두드러기 원인 증상 치료 두드러기 종류 콜린성
두드러기는 전체 인구의 20% 정도가 겪을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며 갑자기 피부가 붓는 팽진과 피부가 붉어지는 발진이 발생하면서 심한 가려움이 동반됩니다 대부분 3~4시간 정도 지속되다가
solo-stars.tistory.com
2025.05.29 - [건강기능성식품,약물] - 스테로이드 연고 효능 스테로이드란 스테로이드 효과 스테로이드 효능 스테로이드 종류 스테로이드 부작용
스테로이드 연고 효능 스테로이드란 스테로이드 효과 스테로이드 효능 스테로이드 종류 스테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제가 신약으로 처음 나왔을 때 인류는 신이 주신 선물이라며 그 효과를 극찬했습니다 기존의 소염제로 염증성 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에 효과가 신통치 않았기 때문에 단시
solo-stars.tistory.com
2025.04.29 - [피부 건강] -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 콜린성 두드러기 치료 몸이 더워지면 피부가 따갑고 가려운 콜린성 두드러기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 콜린성 두드러기 치료 몸이 더워지면 피부가 따갑고 가려운 콜린성 두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있습니다 많은 곳에서 사계절이 뚜렷해서 또는 사계절이 있어 좋은 살기 좋은 이야기라고 합니다. 하지만 실제 살아 보면 사계절이 있다는 것은 사람의 건강에 대하여 그
solo-stars.tistory.com
2025.03.18 - [피부 건강] - 화농성 여드름 여드름 유형 여드름 화농성 여드름 염증성 여드름 차이 화농성 여드름 증상 치료법
화농성 여드름 여드름 유형 여드름 화농성 여드름 염증성 여드름 차이 화농성 여드름 증상 치료
여드름은 피부 아래에 있는 모공이 막힐 때 생기는 흔한 피부 질환입니다 유분과 각질이 모공을 막으면 흔히 여드름이라고 하는 것이 발생수 있으며 가장 흔히 얼굴에 생기지만 등이나 가슴 어
solo-stars.tistory.com
'피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기혈관종 원인 증상 신생아 혈관종 딸기혈관종 영아혈관종 특징 건강에는 이상 없는 붉은 종양 혈관종 치료 (8) | 2025.07.29 |
---|---|
피부발진 원인 피부발진 증상 가려움 붉은 발진 피부발진 질환 증상 위험한 피부질환 증상 피부발진 종류 (5) | 2025.07.29 |
햇빛 알레르기 증상 햇빛 알레르기 원인 치료 치료약 일광 두드러기 광독성 광선 알레르기 다형성 광선성 발진 증상 (5) | 2025.07.24 |
주사피부염 울긋불긋한 피부 주사 주사피부염 원인 증상 여드름 주사피부염 차이점 주사피부염 치료 (5) | 2025.07.23 |
습진 종류 습진 주요 특징 습진 증상 손 발 사타구니 습진 습진 치료 피부질환 습진 바세린 (15) | 202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