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사키병 증상 원인 불완전 가와사끼병 합병증 관상동맥류 가와사키병 치료 불응성 가와사끼병 치료
건강정보가와사키병은 1967년 가와사끼에 의해 일본에서 처음 보고된 이래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지만 전 세계에서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5세 이하의 영유아에 호발 하며 고열과 전신 혈관염의 증후를 보이는 급성열성으로 5일 이상 지속되는 발열 결막충혈 피부의 부정형 발진 입술 및 구강 점막의 발적 홍반이나 경성부종과 같은 손발의 변화 경부림프절의 비화농성 종창 회복기에 생기는 손발 낙설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 가와사키병 증상 원인 치료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1. 가와사키병
가와사키병은 영유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대개 5세미만 특히 6개월에서 2세 영유아에 흔하게 발생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 등 극동아시아에 발생합니다.
어린이에서 갑자기 고열이 나면서 온몸에 있는 중간 크기의 혈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병으로 일본의 가와사끼 도미사꾸라는 소아과의사가 처음으로 이병에 대해 보고하였기 때문에 가와사끼병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주로 5세 이하 어린이 특히 남아가 여아보다 더 잘 걸리며 겨울과 초봄에 호발하며 전염성은 없습니다. 동양인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여 일본 다음으로 우리나라에 많은 병입니다 제때 정상적으로 치료하면 대부분은 완전히 회복하지만 소수에서는 심장 합병증을 일으키게 되며 이중 가장 심각한 것은 심장 동맥이 풍선처럼 부푸는 심장동맥류로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심장동맥의 협착을 일으키게 때문에 이병은 소아청소년의 후천성 심장병의 중요한 원인으로 제때 진단되고 치료되어야 할 질환입니다.
가와사키병은 신체 전체의 혈관에 염증을 유발합니다.
가와사키병은 신체 전체의 혈관벽에 염증 즉 혈관염을 유발하며 심혈관의 감염은 매우 심각한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러한 염증은 또한 췌장과 신장 같은 신체의 다른 장기까지 확산 할 수 있습니다.
2. 가와사키병 원인
정확히 밝혀져 있는 가와사키병은 현재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어린이가 어떤 병원체에 감염 되었을 때 과도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아직 특정한 균과의 관련이 밝혀진 것이 없으며 예방법이 없습니다.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전신으로 퍼지는 것이 특징

3. 가와사키병 증상
가와사키병이 걸리면 5일 이상 지속되는 39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특징적인 증상이 발생하며 양쪽 눈에 눈곱이 끼지 않으면서 생기는 결막충혈, 입술이나 혀가 빨간 사탕을 먹은 것처럼 유난히 빨개지는 증상, 몸이나 결핵예방백신 접종한 후 자리에 생긴 울긋불긋한 발진, 목에 있는 림프절이 붓는 증상, 손발이 붓고 빨갛게 되는 증상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전선에 걸쳐 다양하게 발생하며 주로 피부 점막 임파절에 발생하면 가와사키병을 의심할 수 있으며 대부분 항생제를 사용해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치료하지 않으면 1~2주 이상 증상이 이어집니다.3~4주 동안 열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와사키병 증상 요약
- 39도 이상의 고열이 5일 이상 지속
- 양쪽 눈의 결막이 충혈
- 입술이 붉어지고 균혈이 생김
- 혀가 딸기 모양으로 부어오릅니다
- 구강 점막이 발적이 생기며 목의 임파절이 부기가 생기고 물러짐
- 손과 발이 부기가 생기고 피부가 벗겨짐
- 몸통 위에 고르지 않은 적색 발진입니다.
- 결핵예방백신 접종 부위 발적

4. 불완전 가와사끼병
어떤 어린이들은 5일 이상 고열과 함께 위의 증상들 중 1~2가지만 나타내지만 심장 초음파 검사를 하면 관상동맥의 변화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불완전 가와사끼병이라고 하며 전형적인 가와사끼병보다 진단이 어렵고 심장 합병증을 잘 일으킵니다.
1세 미만 특히 6개월 미만의 어린 영아에서 더 볼 수 있는데 특징적인 증상과 소견이 없거나 애매한 경우가 많아 원인 모를 고열이 7일 이상 계속되거나 열이 떨어진 다음 손발의 피부가 벗겨지는 소견이 보이면 심 초음파 검사를 하여야 합니다.
5. 가와사끼병 합병증 심각한 관상동맥류
가와사끼병은 비교적 양호적인 예후를 가집니다 하지만 관상동맥류를 포함하는 심장 합병증은 가장 심각한 것으로 급성기에는 심근염 심외막염 판막염 등이 올수 있으며 아급성기에서 회복기에 걸쳐서는 관상동맥 확장 등의 병변이 올수 있어 급성기에 심근등에 의한 심부전증으로 아급성기 및 회복기 이후에는 관상동맥 내의 혈전 형성이나 관상동맥 협착으로 인한 심근 허혈 및 심근 경색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6. 가와사끼병 치료
가와시키병으로 진단이 되는 경우 심장의 합병증을 막기 이해 최대한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처음에는 고용량의 아스파린을 먹으면서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처방합니다 아스피린은 관상동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을 막고 면역글로불린은 관상동맥이 늘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초기에 고용량 아스피린가 면역글로불린 투여 후에도 고열이 지속되는 불응성 가와사키병의 경우가 있습니다
면역글루부린을 투여한 후에도 고열이 지속되거나 열이 떨어졌다가 24~48시간 내에 다시 고열이 나는 경우를 불응성 가와사끼병으로 합니다 이런 경우 전체 열나는 기간이 길어져서 관상동맥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게 됩니다 현재까지 표준 치료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만 전문의 경험에 따라 스테로이드 인플릭시맙 도는 메토트렉시이트 같은 대사길항제 중 선택하여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가와사키병 증상 원인 불완전 가와사키병 합병증 관상동맥류 가와사키병 치료 불응성 가와사키병 치료에 대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후통 원인 침 삼키기도 힘든 극한 통증 인후통 증상 인후통 약 인후통 스트렙실 프로폴리스 도움 (0) | 2025.03.21 |
---|---|
아스퍼거증후군 증상 자폐 스펙트럼의 한 종류 아스퍼거증후군 대인관계 어려움 아스퍼거증후군 특징 치료 (1) | 2025.03.21 |
볼거리 증상 늦겨울 봄철 조심해야 볼거리 유행성 이하선염 원인 전염 잠복기 볼거리 치료 합병증 (0) | 2025.03.21 |
돌발진 열꽃 돌발진 원인 증상 열꽃과 발진 차이점 열꽃과 발진 차이 장미진 돌발진 전염 치료 (0) | 2025.03.20 |
헬리코박터균 증상 헬리코박터균 전염 원인 헬리코박터균 검사 헬리코박터균 속쓰림 소화불량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