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c="https://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 '2025/01/21 글 목록 솔로스타

솔로스타

소염진통제 진통제 뜻 소염진통제 효능 복용시간 소염진통제 해열진통제 차이 비마약성 진통제 효능

건강정보
반응형

약국에서 구입하는 진통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된 해열진통제와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 성분으로된 소염진통제로 나누어집니다 해열진통제는 통증 완화 해열 효과가 있으며 소염진통제는 이 두가지 효과 외에 염증을 없애는 작용까지 합니다 약국에서 판매되는 약중 타이레놀 펜잘 게보린은 해열진통제이고 아스피린 애드빌 이지엔6는 소염진통제 입니다 해열진통제는 간 기능을 떨어 뜨릴수 있으며 소염진통제는 위장 기능을 떨어 뜨릴수 있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소염진통제에 대하여 포스팅하겠습니다.

소염진통제 사진

1. 진통제

진통제는 통증을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약물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진통제에는 마약성 진통제와 비마약성 진통제로 구분되며 마약성 진통제는 중추신경에서 통증 전달을 억제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진통 작용이 큰 편이나 오남용의 위험이 있습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주로 염증을 가라 앉히는 작용으로 통증을 억제하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등이 있습니다.

 

통증이란 실질적으로 또는 잠재적으로 신체 조직에 손상이 있거나 손상이 있는 것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불쾌한 육체적 정서적 또는 사회적인 경험으로 생체의 방어 반응의 하나로 통증 수용체에 대한 자극으로 생기며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아픈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통증은 지각신경을 거쳐 척수를 통하여 대뇌피질의 감각 중추에 전달됨으로써 느낄 수 있으며 통증에 관여하는 신경로에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P물질 등의 신경전달 물질이 관여합니다 더불어 이차적으로 손상된 조직에서 프로스타글라딘이 분비되어 염증을 일으키며 통증수용체를 자극합니다.

 

통증은 발생기전에 따라 몸통증 내장통증 신경인성 통증으로 나누어지며 체성통증은 근육 뼈 피부의 이상에 의한 통증으로 통증의 발생 부위가 잘 구분되어 느껴지고 예리한 통증으로 나타나며 주로 비마약성 진통제에 반응합니다. 내장통증은 내부 장기에 관련된 통증으로 통증의 발생 부위가 애매하게 느껴지고 깊숙하고 쥐어 짜는 듯 하거나 누르는 듯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주로 마약성 진통제에 잘 반응합니다 내장 통증은 통증을 나타내는 장기의 신경과 합쳐지는 다른 신경 부위에 통증이 느껴지는 연관통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신경인성 통증은 신경 일부의 이상에 의한 통증으로 주로 보조진통제 및 국소마취제에 반응합니다 그 외에 정서적이거나 사회적인 원인으로 인한 통증도 포함하여 신체 일부의 이상인 침해성 통증 신경인성 통증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통증으로 나누어지기도 합니다.

2.비마약성 진통제

비마약성 진통제는 염증 발열 통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여 진통작용을 나타내는 약물로 주로 염증을 가라 앉히는 작용으로 통증을 억제합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비마약성 진통제는 마약성 진통제와 달리 아편유사제 수용체에 결합하지 않으면서 부작용이 비교적적어 널리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염증 뿐만 아니라 발열 통증에도 효과를 가지므로 진통소염제 또는 해열진통소염제라고 불립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염증 발열 통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글라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를 억제하기 떄문에 진통 작용과 함께 항염 해열 작용을 나타냅니다 생리활성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반응에서 통증과 발열을 일으키는 주된 물질입니다 사이콜로오시게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생성되며 비마약성 진통제는 주로 이 사이클로옥시게나제의 작용을 억제합니다.

3. 소염진통제 효능

동통 치통 두통 월경통 신경통 요통 관절통 근육통 등에 사용되며 또한 약물에 따라 감기로 인한 발열 및 염증 완화에 효과를 나타냅니다 개별 약물의 허가된 효능 및 효과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는 진통 해열 소염작용을 겸합니다 단순 소염제는 진통 해열효과는 없으며 소염작용만 합니다 소염제는 대부분 효소제 성분이며 두가지 약제는 용도가 다릅니다 몸살 발열 두통 관절통 근육통 등에는 소염진통제를 사용합니다 세균감염으로 인한 부종성 염증에는 소염제를 사용합니다.

 

해열진통제의 주요성분은 주로 간에서 분해되며 따라서 약을 먹으면 금방 피로감을 느끼고 간 질환이 있을 경우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부작용은 소염진통제가 더 많습니다 소염진통제는 통증을 전달하는 효소의 활동을 막는데 이 효소가 위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을 같이 하기 때문에 소염진통제를 먹으면 위장관련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염진통제는 콩팥에서 소변을 거르는 사구체 여과율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씁니다 따라서 콩팥이 약한 65세 이상 노인들은 소염진통제 복용시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 하여야 합니다.

 

다만 생리통이나 긴장성 두통 염증성 근육통 류마티스 관절염 등에는 소염진통제가 더 효과적이며 소염진통제는 자궁 근육을 수축시키는 호르몬의 합성을 막기 떄문에 생리통을 없애는데 더 도움이 됩니다 수축괸 근육을 풀어주어 긴장성 두통을 없애는데에도 해열진통제보다 더 효과적입니다.

4. 목적에 따른 진통제 사용

해열이 목적이라면 아세트아미노펜을 먼저 목이 잠기는 등 염증 증상이 있는 경우 비스테로이드항염증제즉 소염진통제를 먼저 복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약을 복용한 후에도 증상이 가라 앉지 않을 경우 다른 종류의 약을 교차로 복용할 수 있으며 하지만 약효가 나타나려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약을 복용하기 전 최소 2시간은 기다려야 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끼리는 4시간 이상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끼리는 6시간이상의 복용간격을 두어야 하며 나이와 체중에 따른 1회복용량을 정확히 지키는 경우 아세트아미노펜은 하루 6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4번까지 복용이 가능합니다.

 

소염진통제 진통제 뜻 소염진통제 효능 복용시간 소염진통제 해열진통제 차이 비마약성 진통제 효능에 대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